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평일 AM09:00-PM06:00
  • 토요일 AM09:00-PM01:00
  • 점심 PM01:00-PM02:00

일요일 및 공휴일휴진

02-3444-8875


홈으로

제목

햄버거, 감자튀김 4일만 먹어도 '뇌 기능' 손상... 간헐적 단식으로 회복 가능

image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unc) 의과대학 연구팀, 실험용 쥐 대상 실험

'정크푸드' 단 4일 만에 기억력 손상 유발 신호

간헐적 단식으로 뇌 손상 완화 가능성 제시

햄버거, 감자튀김 같은 정크푸드를 며칠만 먹어도 뇌 기능이 약해지고 기억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정크푸드는 열량은 높지만 영양가는 낮은 패스트푸드나 인스턴트 식품을 말한다. 이번 연구는 잘못된 식습관이 단기간에도 뇌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며 주목받고 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팀이 실험용 쥐에게 정크푸드를 먹인 결과, 단 4일 만에 뇌에서 이상 신호가 나타났다. 뇌세포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하는 'cck 중간뉴런'이라는 신경세포가 지나치게 활성화된 것이다. 이로 인해 뇌의 에너지 사용 과정이 꼬이면서 기억력이 빠르게 나빠졌다. 특히 뇌의 '해마'라는 부분에서 손상이 관찰됐는데, 이 부위는 기억과 학습을 담당하는 핵심 영역이다. 다시 말해, 정크푸드를 며칠 먹는 것만으로도 학습 능력과 기억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일정 시간 동안 음식을 먹지 않는 '간헐적 단식'을 했을 때는 상황이 달랐다. 공복 시간을 두면 문제가 된 신경세포가 안정되고, 뇌의 에너지 대사가 정상으로 돌아오면서 기억력이 회복됐다. 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pkm2'라는 단백질이 억제되는 것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이 단백질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뇌 에너지 공급에 문제가 생겨 기능이 나빠질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정크푸드가 단순히 살이 찌는 문제를 넘어서, 치매나 알츠하이머 같은 뇌 질환의 위험까지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짧은 기간의 식습관 변화만으로도 뇌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며, 식단 관리가 뇌 건강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확인시켜 준다. 연구팀은 앞으로 정크푸드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뇌 질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더 구체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단기 식습관 변화만으로 뇌 손상 가능성" 입증
이번 연구에 참여한 후안 송 unc 약리학 교수는 "해마 부위의 특정 뉴런이 단기간 정크푸드 노출만으로도 손상된다는 건 예상치 못한 결과였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간헐적 단식이 정크푸드 섭취로 인한 뇌 손상을 완화할 수 있다"며, "이는 향후 뇌 질환 예방을 위한 중요한 연구 기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 (targeting glucose-inhibited hippocampal cck interneurons prevents cognitive impairment in diet-induced obesity; 포도당 억제 해마 cck 중간 뉴런을 표적으로 삼으면 식이 유발 비만의 인지 장애를 예방합니다)는 9월 국제학술지 '뉴런(neuron)'에 게재됐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